자갈 지압슬리퍼 구매 및 사용 후기, 추천이유, 단점
.jpg)
다이옥신류(Dioxins)
1) 일반적특성
○유해물질명: 다이옥신류
○대표물질: 2,3,7,8-tetra chlorodibenzo-p-dioxin (2,3,7,8-TCDD)
○동의어 및 약자: 다이옥신계 화합물(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
퓨란계 화합물(Polychlorinated-dibenzofuran),
○유해물질에 대한 설명
다이옥신류는 고리가 세 개인 방향족 화합물에 여러 개의 염소가 붙어 있는 화합물을 말하며, 가운데 고리에 산소원자가 두개인 다이옥신계 화합물(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 : PCDDs 또는 CDDs)과 산소원자가 하나인 퓨란계 화합물(Polychlorinated-dibenzofuran: PCDFs 또는 CDFs)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다이옥신과 퓨란을 합하여 다이옥신류라고 하며, 다이옥신류에는 이론적으로 210개의 이성체(isomer)가 존재한다. 다이옥신은 원례 자연계에 존재하는 물질은 아니며, 인간이 어떠한 의도로 인위적으로 생산하는 물질도 아니다. 다만 이 화합물은 클로리네이티드 페놀과 유도체, 클로리네이트 비페닐 에테르, PCBs 등 여러 화학제품을 생산할 때 불순물로 미량 생성된다. 다이옥신은 물에 거의 녹지 않고 열화학적으로 안정해서, 자연계에서 한번 생성되면 잘 분해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존재하며, 환경 내에 오랫동안 남으며 생채내에 축적되고 (생체내 반감기는 약 7년) 먹이사슬을 통하여 농축될 수 있는 무서운 지속성유기오염물질(POPs;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중의 하나에 속한다.
○생성원 및 주요인자(자연적/인위적)
다이옥신은 특정한 의도로 생산되는 물질이 아니라 다이옥신류와 분자구조가 유사한 전구물질의 제조 또는 사용 중에 부산물로 생성되거나, 자연적으로 우연히 발생하는 물질로써 다이옥신의 생성은 산소, 탄소, 염소 및 열에 의하여 많은 영향을 받는다. 다이옥신의 생성과정은 크게 두가지로 구분될 수 있는데, 첫째는 배기가스내 전구물질(클로로 페놀등)의 분진내 금속 성분의 촉매활동에 의한 합성이며 둘째는 de novo synthesis로 알려진 분진 내 탄소성분의 다이옥신류로의 합성 (마찬가지로 분진내 금속의 촉매활동에 의한 합성)이다.
도시 고형폐기물 및 산업 폐기물의 소각시설에서 생성되는 다이옥신류는 주로 원료기체의 불완전 연소 및 Cooler zones(250-450℃)의 비산재에서의 비 균질반응에 의한 것이다. 이러한 비균질반응은 전구체물질의 분자와 유기 또는 무기염소화합물로부터 생성된다. 주요 노출경로는 배기가스, 비산재, 잔재, 슬래그, 유출수 등이며, 특히 흡착처리용의 폐활성탄 등에는 높은 농도의 다이옥신류가 검출될 가능성이 높다. 도시폐기물을 소각시킬 경우 다이옥신류 물질은 고온의 연소영역에서는 파괴될 수 있지만 로를 벗어나 온도가 250-300℃정도로 냉각되는 후연소(post- combustion)단계에서 비산재 중의 금속 염화물의 촉매효과에 의해 다시 생성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 다이옥신류의 발생원
현재 UNEP에서는 다이옥신류 등을 포함한 잔류성 유기오염물질(POPs)의 국가별 배출과 관련하여 발생원을 체계적으로 분류(표 3)하고 있다.
다이옥신류의 오염원으로는 소각, 철, 및 비철금속의 생산, 전력생산 및 난방, 운송분야, 다양한 연소공정, 화학물질의 생산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오염원은 브롬화 다이옥신류 오염원으로서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표1. 다이옥신류 주요 발생원
| |||
구 분 | 종 류 | ||
1 차 오 염 원 | 인위적 발생 | 소각 | 도시고형폐기물(생활), 유해폐기물, 의료폐기물, 하수슬러지, 폐목재 및 기타, 바이오 연료소각, 동물사체의 소각 |
(비)철/ 금속 생산 | 철광산업 소결공정, 코크스 생산, 철 및 철광생산, 구리생산, 알루미늄생산, 납생산, 아연생산, 황동생산, 마그네슘생산, 기타 비금속생산 | ||
전력 생산/난방 | 화석연료전력공장, 생물자원전력공장, 매립/바이오가스 연소, 주택의 연소, 주택난방(화석연료) | ||
광물질생산 | 시멘트생산, 석회 생산, 벽돌 생산, 유리 생산, 세라믹 생산, 아스팔트 혼합 | ||
운송 | 디젤 엔진, 중유연소엔진 | ||
비제어연소 공정 | 생물자원 소각, 폐기물 소각 및 화재 | ||
화학물질 및 소비상품의 생산 | 펄프 및 종이 제조, 화학산업, PCP 및 PCP-NaPCB, 2,4,5-T 및 유도체, CNP, Chlorobenzene, Chlorine 제조, EDC, Chlorinated aliphatic ,화합물, 석유산업, 섬유산업 | ||
기타 배출원 | 건조된 생물자원, 화장, Smoke Houses, 드라이클리닝, 담배연기 | ||
처분/매립 | 매립 및 폐기물 덤프, 하수/하수처리퇴비, 폐수방류, 폐유처분 | ||
다이옥신류 오염 토양 및 지질 | 염소화합물 관련 지점, PCB 함유 변압기, 폐기물 및 잔재물의 덤프사고지점, 퇴적물의 준설 | ||
자연적인 발생 | 화산, 화재, 번개 및 산불 등 | ||
2차 | 식품섭취, 음용수 섭취, 공기흡입, 피부접촉, 토양, 하수오니, 퇴비 및 퇴적물 등 |
• 외국의 다이옥신류 배출현황
UNEP에 의해 가장 최근(1993~1997년)에 평가된 다이옥신 배출량 자료에 의하면 22.3~4,000g I-TEQ/년의 범위에서 다이옥신이 매년 배출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몇몇의 국가에서는 높은 다이옥신 배출량을 보고하였는데, 특히 일본의 경우 폐기물소각시설에서 많이 배출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UNEP; 1999).
다이옥신 주요 배출원은 폐기물 소각시설에서 배출되는 비율이 70%로 나타났고, 미국의 경우 1987년과 1999년도에 대기 중 다이옥신류 배출량을 조사한 결과, 폐기물 소각에 대한 관리 강화로 인해 도시 고형 폐기물 소각, 의료 폐기물 소각 에서 급격하게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정원 소각과 같이 직접적으로 관리하기 어려운 분야에서 아직도 높은 배출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2. 국가별 매체별 년간 다이옥신 배출량 (단위: g I-TEQ/년)
국가 | 철강 산업 | 비철 금속 | 발전소 | 산업 소각 시설 | 소형 소각 시설 | 폐기물 소각 시설 | 차량 배출 | 비금속광물 제조 | 기타 | 합계 |
오스트리아 | 10.36 | - | - | 1.5 | 16.7 | 0.179 | 0 | - | 0.024 | 28.8 |
호주 | 10.0 | 1.0 | - | 35.5 | 15.1 | 1.70 | 0.35 | 0.18 | 86.5 | 150 |
벨기에 | 59.6 | 107 | 2.31 | 7 | 122 | 303 | 1.7 | 54.2 | 4.66 | 661 |
스위스 | 9.2 | 1.9 | - | 1.6 | 27.4 | 127 | 0.9 | 0.7 | 12.7 | 181 |
캐나다 | 53.6 | 0.2 | 4.6 | 15.6 | 42.7 | 156 | 8.7 | 2.8 | 5.7 | 290 |
독일 | 181 | 91.6 | 5.3 | 6.2 | 7.1 | 32.1 | 4.8 | 2.4 | 2.9 | 334 |
덴마크 | 7.63 | - | 2 | - | 3.17 | 35.3 | 0.2 | 0.08 | 0.26 | 38.7 |
프랑스 | 420 | 27 | - | 23 | - | 402 | 1 | - | - | 873 |
헝가리 | 12.2 | 0.7 | 13.1 | - | 27.2 | 46.5 | 0.27 | - | 12.31 | 112 |
일본 | 250 | - | - | - | - | 3645 | 0.07 | - | 86.2 | 3981 |
네델란드 | 26 | 4 | 16.7 | 2.7 | - | 402 | 7 | - | 27.5 | 486 |
스웨덴 | 2.01 | 4.43 | - | - | 4.25 | 3.01 | 0.88 | 2.86 | 4.82 | 22.3 |
슬로바키아 | 7.83 | 1.17 | 6.82 | - | - | 26 | -.35 | 0.04 | 0.19 | 42.4 |
영국 | 34 | 5.0 | 6.4 | - | 25.4 | 483 | 1.0 | 0.3 | 14.6 | 569 |
미국 | - | 560 | 0 | 111 | 62.5 | 1589 | 39.8 | 171 | 211 | 2744 |
총계 | 1.083 | 840 | 57 | 204 | 354 | 7.241 | 67 | 234 | 470 | 10.514 |
○문제가 되는 원인
다이옥신의 증기압은 매우 낮아 먼지, 재, 토양 등에 한번 흡착되면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유기용매에는 용해되지만 용해성은 그다지 크지 않다. 또한 이 물질은 700℃에서도 열화학적으로도 잘 파괴되지 않으며, 미생물에 의한 분해도 거의 받지 않는 화합물로 자연 상태에서 매우 안정된 구조를 유지한다. 따라서 자연계에서 한번 생성되면 잘 분해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존재하며, 지방에는 잘 녹는 특성 때문에 생물체 안에 들어온 다이옥신은 생물체의 지방 조직에 축적되고 먹이 사슬을 통하여 고등생물에 농축될 수 있다. 생체내 반감기가 매우 길며 체내에 축전된 다이옥신은 강력한 발암물질로서 암발생율을 높이고(폐암, 간암, 임파선암, 유방암, 고환암, 전립선암, 혈액암 등) 심한 생식계 장애와 발달장애를 일으키며 면역계의 손상으로 여러가지 전염성 질환에 걸릴 수 있다. 또한 호르몬 조절기능 장애, 불임, 출생시 장애, 기형, 발육장애, 당뇨, 갑상선 질환, 정자수의 감소 등을 일으킬 수 있다 (Prepared by J.H.park).
○이화학적 특성
주요특성 | 내용 | |
학명(구분) | 2,3,7,8-T4CDD | O8CCD |
분자량 | 300~500 | |
주요특성 |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한 화합물로서 상온에서는 무색의 결정성 고체이고 증기압은 매우 낮아서 흡착력이 좋다. | |
녹는점(°C) | 305 | 456 |
분해온도(°C) | 〉700 | 〉700 |
용해도(ppm) • Dichlorobenzene • Chlorobenzene • Xylene • Benzene • Chloroform • n-Octanol • Methanol • Acetone • Water | 유기용매에는 용해되지만 용해성은 그다지 크지 않다. | |
1400 720 - 570 370 48 10 110 0.072ppb | 1830 1730 3580 - 560 - - 380 - |
2)독성
○급성독성
표3. 종과 속에 종류에 따른 TCDD의 급성독성 결과
Species/strain(sex) | Route | LD50 (㎍/㎏) | Time of Death(days postexposure) | Follow-up (days) | Body weight loss2 (%) | References |
Guinea pig/Hartley (male) | per os | 0.621 | 5.34 | NR 30 | 50 | McComell et al, 1978a; Schwelz et al, 1973 |
Mink/ NR(male) | per os | 4.2 | 7.17 | 28 | 31 | Hochstein et al, 1988 |
Chicken/NR(NR) | per os | <25 | 12.21 | NR | NR | Greig et al, 1973 |
Monkey/rhesus (female) | per os | -70 | 14.34 | 42-47 | 13-38 | McComell et al, 1978b |
Rat/L-E(male) | intrapenitoneal | -10 | 15.23 | 48-49 | 39 | Tuomisto and Pohjanvirta, 1987 |
Rat/Sherman, Spartin (male) (female) | per os |
22 13-43 | 9.27 | NR | NR | Schwetz et al, 1973 |
Rat/Sprague-Dawley (male) (female) (weanling male) | intrapenitoneal |
60 25 25 | NR | 20 | NR | Beatty et al, 1978 |
Rat/Fischer Harlan(male) | per os | 340 | 28b | 30 | 43 | Walden and Schiller, 1985 |
Rat/H/W(male) | intrapenitoneal | >3,000 | 23-34 | 39-48 | 40-53 | Pohjanvirta and Tuomisto, 1987; Pohjanvirta et al, 1988 |
Mouse/B6(male) D2A/2J(male) B6D2F1(male) |
| 182 620 300 | 24b 21b 25b | 30 | 25 33 34 | Chapman and Schiller, 1985 |
Mouse/B6 D2 B6D2F1 | intrapenitoneal | 132 620 300 | NR | NR | NR | Neal et al, 1982 |
Rabbit/New Zealand White (male and female) | per os demal | 115 275 | 6-39 12-22 | NR 22 | NR NR | Schwetz et al, 1973 |
aOf succmbed animals; bMean time to death; cData from five animals; NR=Not reported
○만성독성(경구)
표4 .종과 속의 종류에 따른 만성독성 결과
Animal | Endpoint | Estimated body burden (ng/kg) | Humanequiv.*intakes (pg/kg/day) | References | ||
LOAEL | NOAEL | ED01 | ||||
Rats | Cancer | 180 | 18 | 32 | 60;6;11 | Kociba et al (1978) |
Rhesus monkeys | Fetal Mortality neurotoxicity | 90 | 21 | NC | 30;7 | Bowman et al (1989) |
Endometriosis | 21 | - | NC | 7 | Schantz et al (1992) | |
Reproductive Tox. (multigenerational) | 21 | - | NC | 7 | Rier et al (1993) | |
Rats | Developmental/ Reproductive Toxicity | 180 | 18 | NC | 60;6 | Murray et al (1979) |
38 | - | 0.34 | 13;0.1 | Mably et al (1992a,b,c) | ||
30 | - | 0.08 | 10;0.03 | Gray et al (1997) | ||
25 | - | 0.6 | 8;0.2 | Faqi et al (1998) | ||
30 | 8 | NC | 10;3 | Ohsako et al (2001) | ||
Rats | Developmental Immunotoxieity | 60 | - | NC | 20 | Gehrs &smialowiez (1999) |
Rats | Developmental Neurotoxieity | 108 | 362 | 0.7 | 36;12;0.2 | Markowski et al (2001) |
Mice | Immunological Effects (adult) | 6 | 3 | NC | 2;1 | Burleson et al (1996) |
300 | - | 2.9 | 100;1 | Smialowiez et al (1994) | ||
100 | 502 | 1.5 | 33;17;0.5 | Narasim han et al (1994) | ||
1200 | - | 7 | 401;2 | Vecchi et al (1983) | ||
Rats | Thyroid Effects | 76 | 22 | 26 | 25;7;8 | Sewall et al (1993) |
Mice | CYPIAI/1A2 Enzyme Induction | 24 | - | 22 | 8;7 | Devito et al (1994) |
2.8 | - | 67 | 0.9;22 | Diliberto et al (2001) | ||
5.1 | 0.51 | 0.003 | 1.6;0.16;0.01 | Vogel et al (1997) | ||
25 | 10 | 3 | 8;3;2;1 | Narasimhan et al (1994) | ||
Rats | CYPIAI/1A2 Enzyme Induction | 243 | - | 19 | 81;6 | van Birgelen et al (1995) |
72 | - | 26 | 24;9 | Schrenk et al (1994) | ||
8 | 2 | 3.5 | 3;0.7;1 | Sewall et al (1995) | ||
76 | - | 59 | 25;20 | Walker et al (1999) |
○발암성
발암성 물질의 분류에서 다이옥신(2,3,7,8-T4CDD)의 독성은 미국 EPA에서는 A1 group, 국제암연구센터(IARC)에서는 group1로 분류하고 있다. 실험동물을 이용한 장기간 생체 실험결과에서 여러 종의 동물들에서 다양한 장기(간, 자궁, 유방, 췌장, 부신 등)의 암이 보고되고 있으며, 산업체 및 피폭지역 역학조사에 의하면 인체에서 폐암, 간암, 위암에 의한 사망률이 증가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면역, 신경, 생식 및 발생독성 등
다이옥신류는 일반적으로 유전 독성물질로는 분류되지는 않고 있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노출된 세포에서 간접적으로 비가역적인 유전적 변이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다이옥신류 210종 중 2,3,7,8-TCDD를 제외한 다른 다이옥신류에 대해서는 암 유발 가능성의 평가가 불충분하지만, 아래 표12와 같은 비발암성독성을 나타내기도 한다는 보고가 있다.
표5. 다이옥신의 비발암성 독성
독 성 | 영 향 |
염소좌창 | TCDD와 유사물질에 노출된 인체에서 관찰(Hyperkeratosis). 토끼, 원숭이, Hairless mice 등의 동물실험에서도 증명 |
면역독성 | TCDD 노출에 의한 림프조직의 감소 및 호르몬 분비이상으로 면역기능 변형 및 감염성 질환에 대한 방어능력 저하 관찰 |
발생독성 | TCDD에 노출된 임산부들의 신생아들에서 치아맹출 등의 증상이 나타남 (Yuso와 Yu-Cheng사건) 신체발달 및 인지력검사에서 발달 저하가 관찰. 동물실험에서도 모체노출시 외피층 결손증에 따른 피부, 손톱 등에서의 이상 및 수신증과 구개열 등 관찰 |
생식독성 | 생식기관 중량감소 및 구조이상, 정자생성 및 번역력 저하, 테스토스테론의 생성 및 혈중 안드로겐 농도 감소, 뇌하수체 분비 호르몬 조절작용 이상 등이 보고. 번식력 저하, 불임, 태아크기의 감소, 난소기능 저하와 호르몬의 이상 등이 보고. 원숭이에서 자궁내막증 관찰 |
3) 인체의 영향
○생체내 거동(흡수, 분포, 대사, 배출)
① 흡수
• TCDD의 위장의 흡수에 대해서는 각 이성체의 lipophilicity에 따라 차이가 나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설치류의 경우 60%의 흡수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 있으며, OCDD의 경우 20% 이하로 보고되고 있다.
② 분포
• 한번 흡수된 다이옥신은 Chylomicrons에 포함되어 빠르게 혈액을 통하여 쥐의 경우 반감기 30분에 걸쳐 혈액에서 Adipose tissue, 간, 피부, 근육 등으로 빠르게 이동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 분포에 걸리는 시간은 제거에 필요한 시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짧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③ 대사 (Metabolism)
• 비록 이전의 연구에서 TCDD는 대사가 되지 않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으나, 최근에 들어와서 TCDD가 극성 대사산물로 천천히 변한다는 보고가 있다. 주 대사산물로는 쥐의 Hypatocytes를 이용한 invitro 실험에서 1-hydroxy-2,3,7,8-TCDD와 8-hydroxy-2,3,4-TCDD를 형성하는 것으로 보고 되었다.
④ 제거 (Elimination)
• TCDD의 생체내 반감기는 rat의 경우 20일, mice의 경우 12일, guinea pig의 경우 90일, 인간의 경우 6~11년으로 보고되고 있다. 실제로 이러한 반감기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는 지방의 함량과 관계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모유 수유시 생체내 다이옥신의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⑤ 메카니즘 (Mechanism &Mode of Action)
다이옥신에 의한 생물학적 영향으로는 Aryl hydrocarbon receptor (AhR; Ligand-dependent transcription factor)가 주된 인자로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AhR는 AhR-Arnt induced gene battery의 전사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써 AhR가 결핍된 동물 또는 세포에 Dioxin을 투여한 결과 상이한 생물학적 활성의 차이가 일어나는 것이 관찰되었다. 그림 및 표에 분자수준에서의 단계별 반응 메카니즘을 기술하였다 (EPA, 2003).
AhR가 관여하는 Target gene의 발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효소로는 P450 Cytochrome(CYP1A1, 1A2, 1B1)와 non-P450 enzymes(a quinone oxidoreductase, aldehyde dehydrogenase, glucuronosyltransferase, glutathione transferase)가 있다.
○관련질병
1962년에서 1971년에 걸쳐 베트남 전쟁에서 미군이 정글의 초토화를 목적으로 고엽작전을 전개하여 제초제 2,4,5-T와 2,4-D가 1:1로 혼합된 제초제(Agent Orange)를 대량 공중살포하였는데, 이 약에 불순물로 함유되어 있던 다이옥신류로 인해 간암, 유산 및 기형아 등이 출산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이후 다이옥신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다이옥신은 인체에 알려진 발암물질 (Group1)으로 국제암연구소에서는 분류하고 있다.
○인체노출현황
사람은 음식물을 통하여 97-98%의 다이옥신을 섭취하고 있으며, 호흡을 통한 섭취는 2-3%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고기와 낙농 유제품, 우유, 닭고기, 돼지고기를 통해 섭취하는 것이 대부분이고 식수를 통한 섭취는 무시해도 좋은 수준이다.
○민감집단
수유중 영유아 및 어린이, 수산물을 많이 섭취하는 지역주민
4)관련식품현황
○오염경로
소각장에서 생성되는 다이옥신들은 우선 가까운 지역사회 내에 퍼지면서 대기를 오염시키고, 산림자원, 농산물, 토양 등을 오염시키게 된다. 다이옥신은 물에 잘 녹지 않고 지방에 잘 녹는 성질이 있어 물에 금방 씻겨 내려가기 때문에 우리가 먹는 물이나 채소들은 안전하지만 씻겨 내려간 다이옥신은 강이나 해양을 오염시키게 되고 강이나 연안해양의 바닥에 침전물이 쌓여 오염이 밑바닥에서 심해져 어패류에 오염을 일으키게 된다. 또 물고기가 섭취 한 다이옥신은 물고기의 체내 지방조직에 축적되고 먹이 사슬을 통해 점점 더 많은 양의 다이옥신이 축적되게 된다. 육지에서도 가축에 오랜 시간에 걸쳐 다이옥신의 축적이 지방조직에서 이루어지고 계란이나, 우유에도 다이옥신이 축적된다.
다이옥신은 토양, 퇴적물, 물 또는 대기 중에서도 기본적으로 입자 또는 유기물과 결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화합물은 환경 중에서 대단히 안정하며 용출 및 휘발은 매우 적어서 환경 중에서 일어날 수 있는 주요 변화 중 특히 소멸 과정은 가스상, 토양-공기, 물-공기 계면에 존재하고 있는 흡착되지 않는 일부 다이옥신의 광분해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기 중에 존재하는 다이옥신은 광분해 이외에도 건식, 습식 침강에 의하여 제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토양 중 다이옥신은 토양 속에 존재하다가 수중 및 퇴적물(저질층)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다이옥신이 최종적으로 도착하게 되는 환경 중 최종 저장고(Sink) 역할을 하는 매질은 퇴적물(저질층)이라고 생각 할 수 있다.
○환경 중 분포
환경 중으로 배출되는 다이옥신의 대부분이 폐기물 소각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폐기물 소각로에 대한 발생원만 제어한다면 다이옥신에 관한 오염문제는 해결될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미 환경 중에 존재하는 다이옥신은 발생원이 다양하고 물리화학적으로 매우 안정하기 때문에 거의 모든 환경시료 (대기, 토양, 물, 저질층, 어패류, 식품류 등)에서 검출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일반 대기 중의 다이옥신류 농도는 그 지역의 개발 정도, 오염원의 분포상황, 지형학적 위치 등 여러 주변 환경영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대기 중 총 다이옥신 농도는 공기 1m3당 수 피코그람 정도이며 시골이나 중소 도시보다 대도시나 공업지역이 다소 높은 편이다. 토양 중의 다이옥신은 다이옥신 화합물이 물에 잘 녹지 않는 성질 때문에 주로 표면이나 표면 가까이 잔류하는 경향이 있다.
토양 중의 다이옥신은 증발, 풍화, 침식에 의해 감소할 가능성이 있지만, 반감기가 수십년 정도로 알려져 있다. 토양 중 다이옥신 농도는 비오염지역이 10pg-TEQ/g 이하로 낮은 반면에 배출시설 주변지역에서는 100~8000 pg-TEQ/g이 높게 검출되는 경우도 있다. 물에서의 다이옥신 농도는 극히 미량만이 수중에 용해되기 때문에 매우 낮은 농도나 거의 검출한계 이하로 검출되고 있다.
○식이섭취량 조사결과
사람은 음식물을 통하여 97-98%의 다이옥신을 섭취하고 있으며, 호흡을 통한 섭취는 2-3%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고기와 낙농 유제품, 우유, 닭고기, 돼지고기를 통해 섭취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특히 어패류를 통하여 섭취하는 경우는 매우 높다. 식수를 통한 섭취는 무시해도 좋은 수준이다. 다이옥신류는 먹이사슬을 통하여 고등동물의 체내에 축적되는 경향이 높다. 따라서 모유를 수유하는 경우 영아의 다이옥신 노출에 대해서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하지만 수유기간이 비교적 짧기 때문에 장기 투여에 대한 우려는 안해도 무방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