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독성(표적장기독성)
1) 호흡기계 독성
포름알데히드는 파티클 보드 제품 및 기타 화학 물질의 합성에서 중간체로 사용되는 수지를 제조하는데 주로 사용되고 있다. 포름알데히드에 대한 노출은 실내 공기, 담배 연기 또는 주변 도시의 오염된 공기를 호흡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 인체에서 포름알데히드를 급성 및 만성으로 흡입하면 호흡기 증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눈, 코, 인후 염증이 발생할 수 있다. 몇몇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들이 포름알데히드 노출과 폐암이나 인두 암 사이의 연관성을 보고하고 있다. 동물 흡입실험은 코의 편평세포암 발생률 증가를 보고하고 있다 (US EPA Technology Transfer Network, 2013).
2) 면역독성
매 치료시마다 소량의 포름알데히드를 투여한 투석환자는 순환 면역 복합체를 형성시켜 혈청병-유사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가장 빈번한 후유증은 자가면역에 의한 용혈성 빈혈, 드물게 말초 호산구 증가증이 일어날 수 있다 (Fassbinder etal, 1979; Sandler et al, 1979).
3) 눈, 귀, 피부 등 기타 독성
포름알데히드 증기와 마찬가지로 피부에 노출된 후 알러지성 피부염이 생겼다. 단순 건조, 홍반, 두드러기, 습진성 병소, 표피탈락, 감각과민증, 혈관신경성 부종 등이 포함 된다 (Loomis, 1979; Pedersen, 1980; Simon et al, 1984; Andersen & Maibach, 1984). 포름알데히드를 마우스에 만성 경구 투여하였더니 망막 색소 상피의 구조적인 변화를 일으켰다 (Kawano, 1975).
생식독성/기형유발성
1) 기형유발성
태아독성과 태아 사망 등 태아나 배아에 독성 효과는 마우스 시험에서 두 개 안면, 근골격계 그리고 다른 특이적 발생이상이 관찰되었다 (RTECS, 1999).
랫드 시험에서 태아나 배아에서 체성 세포 유전물질에서 세포학적 변화가 관찰되었다(RTECS, 1999).
2) 임신 중 영향
생리 질환과 자연 유산이 증가하였다 (EPA, 1985) Schardein, 1985). 여성의 생식독성: 포름알데히드로 작업하는 여성에서 월경불순이 보고 되었다.
(Shumilina, 1975).
남성의 생식독성: 10 mg/kg/일으로 30일간 투여한 수컷 랫드와 invitro 실험에서 포름알데히드는 정자의 운동성, 생존력과 정자 수에 영향을 미쳤다. (Majumder & Kumar, 1995). 흡입 노출 후 랫드에서 정자에 영향이 있었다 (RTECS, 1997).
발암성정보
포름알데히드는 일상 환경에도 존재하는 자연적인 물질로, 주로 배기가스나 건축자재, 카페트, 페인트, 요리, 담배연기, 살균제 등을 통해 노출되며 노출 시 인체에 비인두암, 혈액암, 비강암 등을 유발할 수 있다고 역학연구를 통해 알려져 있다. 랫드와 마우스의 장기 흡입 실험에서 코의 편평상피 세포암이 증가하는 경향을 관찰하였다. 포름알데히드와 구조가 비슷한 다른 발암원성 알데히드(아세트알데히드 등)와 생체 외 실험 유전독성 자료가 B1의 분류를 더욱 입증하고 있다.
참고문헌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FDA). Harmful and Potentially Harmful Constituents in Tobacco Products and Tobacco Smoke; Established List. 2012;77(64):20035-37
Andersen KE & Maibach HI: Multiple application delayed onset contact urticaria: possible relation to certain unusual formalin and textile reactions?. Contact Dermatitis 1984; 10:227-234.
Baker RR. The generation of formaldehyde in cigarettes—Overview and recent experiments. Food Chem Toxicol. 2006 Nov;44(11):1799-822
Beall JR & Ulsamer AG: 포름알데히드 and hepatotoxicity: a review. J Toxicol Environ Health 1984; 14:1-21.
Bingham E, Cohrssen B, & Powell CH: Pattys Toxicology, Vol.5, 5th ed, John Wiley & Sons, New York, NY, 2001.
Bousquet J & Michel FB: Allergy to 포름알데히드 and ethylene-oxide. Clin ev Allergy 1991; 9:357-370.
Breysse P, Couser WG, & Alpers CE: Membranous nephropathy and 포름알데히드 exposure. Ann Intern Med 1994;120:396-397.
Budavari S: The Merck Index, 12th ed, Merck & Co, Inc, Whitehouse Station, NJ, 1996, pp 717-718.
Ebner H & Kraft D: 포름알데히드-induced anaphylaxis after dental treatment?. Contact Dermatitis 1991; 24(4):307-309.
Fassbinder W, Frei U, & Koch KM: Haemolysis due to 포름알데히드-induced anti-N-like antibodies in haemodialysis patients. Klin Wochenschr 1979; 57(13):673-679.
Goldfrank LR, Flomenbaum NE, & Weisman RS: Wax PM (Ed): Antiseptics, Disinfectants, and Sterilants. In: Goldfrank LR, Flomenbaum NE, Lewin NA et al (Eds): Goldfranks Toxicologic Emergencies, 5th ed, Appleton & Lange, Norwalk,
Hendrick DJ & Lane DJ: Formalin asthma in hospital staff. Br Med J 1975; 1(5958):607-608.
Hendrick DJ & Lane DJ: Occupational formalin asthma. Br J Ind Med 1977; 34:11-18.
http://www.epa.gov/iris/subst/index.html. As accessed October 11, 2004.
Kawano M: The effect of orally administered 포름알데히드 on the mouse retina. Folia Ophthalmol Jpn 1975; 26:529.
Lembo G, Balato N, & Cusano F: Unusual 포름알데히드 dermatitis. Contact Dermatitis 1982; 8:272.
Majumder PK & Kumar VL: Inhibitory effects of 포름알데히드 on the reproductive system of male rats. Indian J Physiol Pharmacol 1995; 39(1):80-82.
Morgan DP: Recognition and Management of Pesticide Poisonings, 4th ed. EPA-540/9-88-0015,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Government Printing Office, Washington, DC, 1989.
Nordman H, Keskinen H, & Tuppurainen M: 포름알데히드 asthma -- rare or overlooked?. J Allergy Clin Immunol 1985;75:91-99.
Porter JA: Acute respiratory distress following formalin inhalation. Lancet 1975; 2:603-604.
Pross HF, Day FH, & Clark RH: Immunologic studies of subjects with asthma exposed to 포름알데히드 and urea-포름알데히드 foam insulation (UFFI) off products. Allergy Clin Immunol 1987; 79:797-810.
Sakula A: Formalin asthma in hospital laboratory staff (Letter). Lancet 1975; 1: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