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갈 지압슬리퍼 구매 및 사용 후기, 추천이유, 단점

이미지
발이 무겁고 피로하신 분들에게 추천드리는 자갈 지압슬리퍼 구매 및 사용후기 소개드립니다. 남녀노소 모두 사용하기 좋고 하루종일 사용하는 발을 간편하게 지압하면서 피로 회복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는 아이템이 가격도 완전 합리적이교 효과적인 자걸 지압 슬리퍼 강추 드립니다.  순서 추천하는 이유 제품의 기본 특징 색상구성 제품사이즈 및 재질 효과 : 혈액순환과 소화기에 도움 지압효과 단점 마치며 일단 지압슬리퍼 추천 리뷰 드리기전에 일단 장바구니에 넣어두고 글 보시기를  강추 드립니다.  <지압슬리퍼 최저가 구매> 추천하는 이유 간단합니다. 집안청소하거나 설거지 할때 또는 실내 산책을 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발에 지압이 되면서 피로를 줄여줍니다. 지압선물의 1등은 단연코 자갈 지압 슬리퍼가 최고 입니다.  특히 사무실에서 실내화 착용이 가능하시다면 절대로 강추드립니다. 행동 반경이 짧으면서 실내 활동 많으신분은 잠깐씩 실내화를 바꿔신으시면 집중력도 좋아지고 신진대사도 좋아지게 됩니다.  <아이린 지압슬리퍼 제품 정보> 제품의 기본 특징 천연 자갈로 지압이 되고 벨크로로 발에 맞게 사용이 가능해서 자연스럽게 지압이 됩니다. 1년 넘게 사용하고 있는데 튼튼한것은 덤이고, 바닥이 나무로 지압력이 발에 그대로 전달되어 시원합니다.  특히 바닥면과 굽이 깔끔하게 마감처리 되어 있고 천도 튼튼하고 깔끔하게 되어있어서 소품으로도 만족스럽습니다.  <지압슬리퍼 최저가 구매> 색상 구성 색상도 다양합니다. 저는 1픽으로 파란색을 선택하였지만 빨간색, 검은색, 라이트브라운, 핑 크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온가족 모두 사용하기도 좋고 사이즈도 다양해서 남녀노소 모두 사용가능합니다.  <아이린 지압슬리퍼 제품 정보> 제품사이즈 및 재질 자갈 지업 슬리퍼로 판매되면서 옥석, 자갈, 합성가죽 등으로...

2020년에도 국산배를 호주로 수출 가능하다고 합니다.



농립축산 검역본부에 따르면 올해 국산배를 호주로 수출하는게 가능하다고 합니다.
과수화상병이 발생하지 않은것을 증명해야하며, 호주 검역당국의 승인을 받은 후에 호주에 추출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주 요 내 용
 
 
 
올해에도 나주, 상주, 하동 지역의 호주 수출 등록과수원에서 생산되는 배는 작년과 동일한 조건*으로 수출이 가능하고, 경상남도 진주 지역도 수출 가능하도록 추가 승인
* 허용된 4개 시() 전체 지역에서 과수화상병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지속적으로 조사하여 증명하여야 함
▣ 농림축산검역본부(본부장 박봉균, 이하 검역본부’)는 기존 호주 수출 가능지역이었던 나주, 상주, 하동 단지에서 생산한 배를 작년과 동일한 조건으로 올해에도 호주로 수출할 수 있게 되었다고 밝혔다.
호주로 배를 수출하기 위해서는 검역본부에 수출단지를 등록한 후 호주 검역당국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또한, 병해충 조사를 통하여 해당 시()에서 과수화상병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하여야 한다.
2015년 중부지역의 과수화상병 발생으로 호주는 당시 한국산 배의 수입을 일시 중단하였다.
이에 검역본부는 과수화상병 국내 발생 정보와 방제 현황을 투명하게 호주측에 제공하여 기존에 수출이 허가된 나주, 상주, 하동 지역을 지속적으로 수출 가능하도록 하고 있으며, 올해에도 작년과 동일한 조건으로 국산 배의 수출이 계속될 수 있도록 검역 협상을 완료하였다.
또한, 경남 진주시가 호주 수출을 희망하여 검역본부는 호주 검역당국에 과수화상병 무발생지역인 진주를 수출지역으로 추가 승인해 줄 것을 요청하였고, 지난 4월 초에 호주측은 이에 동의하였다.
검역본부 관계자(김정빈 수출지원과장)국산 배를 호주로 수출하기 위해서는 수출 농가뿐만 아니라 내수용 과실을 생산하고 있는 농업인과 지자체도 과수화상병 무발생 유지를 위해 지속적이고 긴밀한 협조가 필요하며, 앞으로 신규 수출시장 확보를 위해 검역 및 협상 등에도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참고
 
한국산 배 생과실 수출 현황
 
배 생과실 협상 타결현황 및 수출 실적
국 가
타결
년도
수출 요건
'18년 수출
'19년 수출
중량
()
금액
(천불)
중량
()
금액
(천불)
미 국
'86
현지검역, 수출단지 지정, 재배지검사
12,052
35,595
11,238
34,221
대 만
'06
현지조사, 수출선과장농가등록
9,285
21,283
10,084
26,601
캐나다
'94
수출단지 지정, 재배지검사, 응애예찰
386
1,167
402
1,300
호 주
'99
수출단지 지정, 재배지검사, 예찰조사
186
590
218
676
태 국
‘18
수출단지 지정, 수출검사
160
561
178
590
뉴질랜드
'99
수출단지 지정, 수출검사
82
191
97
229
인 도
‘18
수출단지 지정, 저온처리(0/40일간)
14
28
83
196
브라질
‘17
수출단지 지정, 재배지검사, 수출검사
28
72
20
72
필리핀
'99
수출검사, 수입국 표기
6
17
13
41
페 루
'13
수출단지 지정, 재배지검사, 수출검사
7
19
8
20
멕시코
‘14
수출단지 지정, 재배지검사, 수출검사
16
62
-
-
아르헨티나
‘18
수출단지 지정, 재배지검사, 수출검사
6
16
-
-
칠 레
'99
수출단지 지정, 재배지검사
-
-
-
-
남아공
'00
재배지검사, 수출검사
-
-
-
-
이스라엘
'01
수출단지 지정, 재배지검사, 수출검사
-
-
-
-
합 계
 
 
22,228
59,601
22,341
63,946
출처: 농식품수출정보(KATI)
 
요건 없이 수출되는 주요국의 수출 실적
연도별
국가별
2018
2019
중량()
금액(천불)
중량()
금액(천불)
베트남
8,984
16,450
7,096
16,054
인도네시아
261
662
250
715
말레이시아
117
237
112
240
50
118
53
146
아랍에미레이트
67
194
48
141
기 타
1,239
2,797
830
2,029
합 계
10,718
20,458
8,389
19,325
출처: 농식품수출정보(KATI)


* 배 수출검역 실적(천불) : (’18) 80,059 (’19) 83,271, 4%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