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역검사본부에서 2019년 2019년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 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세부사항은 아래 내용 참고해주세요
관련 링크 : 클릭
2019년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 실태 조사 결과
- 신규 인증된 축산농장 69개소, 누계 262개소 -
|
|
《 주 요 내 용 》
|
|
|
|
◇ 2019년 신규 인증된 동물복지 축산농장은 69개소로 전년대비 32.3% 증가하였으며, 인증 누계는 총 262개소
○ 동물복지 인증농가(262개소) : 산란계 144, 육계 89, 양돈 18, 젖소 11
◇ 전체 가축사육농가 중 동물복지 인증 농장 비율은 산란계 농장 15%, 육계 농장 5.9%, 양돈 농장 0.3%, 젖소 농장 0.2% 순
|
농림축산검역본부(본부장 박봉균, 이하 ‘검역본부’)는 「동물보호법」 제45조(실태조사 및 정보의 공개)에 따라 2019년 동물복지 축산농장에 대한 인증 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 주요 조사 대상은 2019년 말 기준 전국의 동물복지 축산농장 신규 인증 및 축종별·지역별 인증 현황 등이다.
※「동물보호법」제45조(실태조사 및 정보의 공개)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동물보호·복지 실태에 관한 정보와 자료를 수집·조사·분석하고, 그 결과를 해마다 정기적으로 공표하여야 한다.
○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제란?
동물이 본래의 습성 등을 유지하면서 정상적으로 살 수 있도록 관리하는 축산농장을 인증하는 제도*로, 2012년 산란계를 대상으로 도입하여 현재 7개 축종**으로 확대·시행하고 있다.
*「동물보호법 제29조(동물복지축산농장의 인증) 및 동법 시행규칙 제29조 내지 제34조
** 인증 축종: 산란계(2012년), 양돈(2013년), 육계(2014년), 한우·육우, 젖소, 염소(2015년), 오리(2016년)
|
이번 인증실태조사 결과, 2019년 동물복지 축산농장으로 신규 인증을 받은 농장은 69개소이며, 양계 농장(산란계와 육계 농장)이 89.8%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 축종별로는 산란계 농장 29개소, 육계 농장은 33개소, 양돈 농장 5개소, 젖소 농장 2개소이며,
❍ 지역별로는 전라도 29개소, 충청도와 경기도는 각각 13개소, 경상도는 10개소, 강원도와 제주도는 각각 2개소였다.
현재까지 동물복지 축산농장으로 인증된 농가는 전년대비 32.3% 증가한 총 262개소이다. [별첨1]
* 인증현황(개소): (2015년) 74 → (2016년) 114 → (2017년) 145 → (2018년) 198 → (2019년) 262
❍ 축종별로 가축사육농장 중 동물복지 축산농장 비율은 산란계 15%, 육계 5.9%, 양돈 0.3%, 젖소 0.2%로 조사되었고, [별첨2]
* 축종별 동물복지 축산농장/가축사육농장(개소) : 산란계(144/963), 육계(89/1,508), 양돈(18/6,133), 젖소(11/6,232)
❍ 지역별 동물복지 축산농장은 전라도가 42.7%로 가장 많았고, 충청도가 23.3%로 뒤를 이었다. [별첨3]
* 지역별 복지농장(개소) : 전라 112, 충청 61, 경기 34, 경상 32, 강원 16, 제주 5, 인천 2
또한, 인증을 희망하는 축산 농가의 교육 기회 확대를 위하여 ‘전문 교육기관’을 지정하여 운영하고, 소비자의 인증제도 인식개선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홍보 등을 추진할 예정이며,
❍ 동물복지 축산 농가를 위한 상담 지원 사업*도 농림축산식품부 동물복지정책과와 지자체 주관으로 추진된다.
* 동물복지축산 컨설팅 사업 : 개소당 10백만 원(국비 4백만 원, 지방비 3백만 원, 자부담 3백만 원) 이내로 100개소 지원 예정
검역본부 관계자는 “2019년에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은 전년대비 32.3% 증가하였으며, 인증제도에 대한 인지도* 역시 전년의 46%에서 63.9%로 17.9% 상승하는 등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라고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주관 ‘농식품 국가인증 홍보 중 국가인증제도 조사’ 결과(2019년)
❍ 앞으로, 동물복지 축산농장에 대한 제도개선 및 정책적 지원 등을 통해 생산자·유통·소비자의 변화를 아우르는 인증제 활성화로 지속 가능한 축산정책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구 분
|
'15
|
'16
|
'17
|
'18
|
'19
|
인증 농장수(개소)
|
76
|
114
|
145
|
198
|
262
|
축
종
별
|
산란계
|
농장수(개소)
|
68
|
89
|
95
|
118
|
144
|
사육규모(천마리)
|
845
|
1,033.5
|
1,280.5
|
1,794.7
|
2,315.9
|
육계
|
농장수(개소)
|
2
|
11
|
30
|
58
|
89
|
사육규모(천마리)
|
102.2
|
974.4
|
2,294.5
|
4,519.9
|
6,754.3
|
양돈
|
농장수(개소)
|
6
|
12
|
12
|
13
|
18
|
사육규모(천마리)
|
24.9
|
31.8
|
34.1
|
36.1
|
48.1
|
젖소
|
농장수(개소)
|
-
|
2
|
8
|
9
|
11
|
사육규모(마리)
|
-
|
152
|
1,194
|
1,235
|
1,412
|
구분
|
가축사육농장*
|
동물복지 축산농장
|
비율(%)
|
산란계
|
농장수
|
963
|
144
|
15.0
|
사육두수
|
72,700,835
|
2,315,901
|
3.2
|
육계
|
농장수
|
1,508
|
89
|
5.9
|
사육두수
|
88,738,361
|
6,754,303
|
7.6
|
양돈
|
농장수
|
6,133
|
18
|
0.3
|
사육두수
|
11,279,894
|
48,091
|
0.4
|
젖소
|
농장수
|
6,232
|
11
|
0.2
|
사육두수
|
407,753
|
1,412
|
0.3
|
지역별
|
산란계
|
육계
|
양돈
|
젖소
|
합계
|
합계(도)
|
강원도
|
14
|
0
|
1
|
1
|
16
|
16
|
경기도
|
19
|
0
|
13
|
2
|
34
|
34
|
인천광역시
|
2
|
0
|
0
|
0
|
2
|
2
|
충청북도
|
31
|
0
|
1
|
0
|
32
|
61
|
충청남도
|
21
|
1
|
0
|
7
|
29
|
경상북도
|
14
|
2
|
0
|
0
|
16
|
32
|
경상남도
|
10
|
4
|
2
|
0
|
16
|
전라북도
|
13
|
74
|
0
|
0
|
87
|
112
|
전라남도
|
16
|
8
|
1
|
0
|
25
|
제주도
|
4
|
0
|
0
|
1
|
5
|
5
|
합계(축종)
|
144
|
89
|
18
|
11
|
262
|
262
|
【별첨 3】
【지역별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현황('19.12월말 기준)】
지역별
|
산란계
|
육계
|
양돈
|
젖소
|
합계
|
합계(도)
|
강원도
|
14
|
0
|
1
|
1
|
16
|
16
|
경기도
|
19
|
0
|
13
|
2
|
34
|
34
|
인천광역시
|
2
|
0
|
0
|
0
|
2
|
2
|
충청북도
|
31
|
0
|
1
|
0
|
32
|
61
|
충청남도
|
21
|
1
|
0
|
7
|
29
|
경상북도
|
14
|
2
|
0
|
0
|
16
|
32
|
경상남도
|
10
|
4
|
2
|
0
|
16
|
전라북도
|
13
|
74
|
0
|
0
|
87
|
112
|
전라남도
|
16
|
8
|
1
|
0
|
25
|
제주도
|
4
|
0
|
0
|
1
|
5
|
5
|
합계(축종)
|
144
|
89
|
18
|
11
|
262
|
262
|
(단위: 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