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갈 지압슬리퍼 구매 및 사용 후기, 추천이유, 단점

이미지
발이 무겁고 피로하신 분들에게 추천드리는 자갈 지압슬리퍼 구매 및 사용후기 소개드립니다. 남녀노소 모두 사용하기 좋고 하루종일 사용하는 발을 간편하게 지압하면서 피로 회복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는 아이템이 가격도 완전 합리적이교 효과적인 자걸 지압 슬리퍼 강추 드립니다.  순서 추천하는 이유 제품의 기본 특징 색상구성 제품사이즈 및 재질 효과 : 혈액순환과 소화기에 도움 지압효과 단점 마치며 일단 지압슬리퍼 추천 리뷰 드리기전에 일단 장바구니에 넣어두고 글 보시기를  강추 드립니다.  <지압슬리퍼 최저가 구매> 추천하는 이유 간단합니다. 집안청소하거나 설거지 할때 또는 실내 산책을 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발에 지압이 되면서 피로를 줄여줍니다. 지압선물의 1등은 단연코 자갈 지압 슬리퍼가 최고 입니다.  특히 사무실에서 실내화 착용이 가능하시다면 절대로 강추드립니다. 행동 반경이 짧으면서 실내 활동 많으신분은 잠깐씩 실내화를 바꿔신으시면 집중력도 좋아지고 신진대사도 좋아지게 됩니다.  <아이린 지압슬리퍼 제품 정보> 제품의 기본 특징 천연 자갈로 지압이 되고 벨크로로 발에 맞게 사용이 가능해서 자연스럽게 지압이 됩니다. 1년 넘게 사용하고 있는데 튼튼한것은 덤이고, 바닥이 나무로 지압력이 발에 그대로 전달되어 시원합니다.  특히 바닥면과 굽이 깔끔하게 마감처리 되어 있고 천도 튼튼하고 깔끔하게 되어있어서 소품으로도 만족스럽습니다.  <지압슬리퍼 최저가 구매> 색상 구성 색상도 다양합니다. 저는 1픽으로 파란색을 선택하였지만 빨간색, 검은색, 라이트브라운, 핑 크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온가족 모두 사용하기도 좋고 사이즈도 다양해서 남녀노소 모두 사용가능합니다.  <아이린 지압슬리퍼 제품 정보> 제품사이즈 및 재질 자갈 지업 슬리퍼로 판매되면서 옥석, 자갈, 합성가죽 등으로...

연구계획서 작성절차




연구계획서 작성절차관련해서 알아보기

* 과학적 연구란
  → 알려지지 않은 사실을 찾아내거나, 입증하는것
  → 이미 알려진 사실에 대한 반증이나, 다른 사실의 증명을 통하여
      타장한 결과를 찾아내는 수단

* 연구 성립의 특성
  1. Research Problem(연구문제)
  2. Identification of Problem(문제의 확인)
  3. Research Plan(연구 계획)
  4. 중심 주제와 세부주제의 구성
  5. 가설(Hypothesis)과 가정(Assumption)의 정립
  6. 사실적이고 의미가 있는것
  7. 결과는 이용자들에게 제공되어 순환과정이 있어야 함

구글이나 네이버에서 '짜르의 잡동사니' 검색해서 오세요

연구계획서 순서

* 연구 기획서(계획서)
연구계획서란 건축에 있어서의 설계도와 같이 연구 진행과정상의
중요한 절차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유익한 연구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연구계획의 충실을 기하여야 하며, 계획서의 작성을 위해서는
연구자와 연구를 지도하는 지도자 사이에 신중히 검토되어야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보다 충실한 계획이 될 수 있도록 수정할 수 있어야 한다.

좋은 연구실적을 올리기 위해서는 연구수행을 위한0
고도의 계획성과 체계성이 요구되며, 바로 이러한 계획성과 체계성을
보장하여 줄 수 있는 첫 작업이 충실한 연구계획서의 작성인 것이다.

  1. 제목
     - 제목은 가능한한 구체적으로 작성
     - 제목은 종속변수에 관하여 설명한 것이어야 함
     - 연구목적이 잘 요약 되어야함
     - 연구대상이 함축적이어야함
     - 실제 연구범위보다 확대 표현하지 말아야 함

     
  2. 서론 및 목적
     - 서론은 배경지식을 제공하고 맥락을 설정한다.
     - 연구의 필요성, 연구주제의 창의성, 선행연구와의 비교 등 포함
     - 연구의논리적 근거,   연구를 수행하는 이유도 포함되어야 
     - 연구분야의 최근 지식 및 활동에 대하여 기술
     - 관련 연구문헌 포함되어야 함
     - 연구를 하게된 동기 및 합리적인 이유를 기술
     - 연구목적은 구체적으로 측정 가능한 용어로 기록
     - 추상적이거나 막연한 기술은 지양
     - 연구 문제 진술연구 질문: 연구 문제 진술을 통해해당 연구가 해결하고자 하는
         지식의 공백이나 문제를 간단히 설명합니다.

   * 제목 설정의 내적기준
     (1) 이 문제를 다룰만한 자질과 소질을 내가 갖추고 있는가?
     (2) 연구자료를 쉽게 인수할 수 있는가?
     (3) 이 연구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재정적 뒷받침이 충분한가?
     (4) 이 연구를 완수하는데 필요한 시간적 여유는 충분한가?
     (5) 만일에 어려운 역정에 처한다 하더라도 끝까지 이 연구를
         추진할 용기와 결의를 갖고 있는가?

   * 유 의 사 항
      (1) 광범위한 연구영역을 그대로 표시하지 말고
           특이한 문제점을 지적할 수 있는 제목일 것
      (2) 매력적이고 학술적인 표현을 할 것
      (3) 선전적 혹은 정서적이거나 비과학적인 어휘를
          빌려서 제목을 기술하지 말 것

  3. 연구방법
     - 연구에 사용할 연구 디자인과 연구 방법을 설명
     - 연구방법의 구분 명시(실험/관찰/설문/평가 등)
     - 조사대상자에 대하여 설명
     - 표분추출 방법에 대한 설명
     - 자료(변수)에 대한 측정 및 수집 방법을 기록
     - 수집된 자료에 대한 분석 및 통계적 검증 방법
     - 중점 연구내용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수행할 것인지에 대한
        추진전략, 연구방법을 기술


   * 가설의 설정
     가설이 필요한 연구유형에 있어서는 입증하고자 하는 
문제점을 의문문 또는 서술문 형식으로 진술한다.
가능한대로 연구자가 실제 연구에 착수하기 이전에
예상하거나 끌어낼 수 있는 잠정적인 결론 (가설)을
미리 설정해 놓는 것이 좋다. 아무리 예상되는 가설이라
하더라도 논리적으로나 현실적으로 자료수집과
실험을 통해서 검증이 가능한 것이어야 하며, 
제점을 명확히 드러낼 수 있는 간결한 용어로 표현되어야 한다.
특히 입증이 불가능한 주관적 편견을 가설로 설정해서는 안된다.

   * 내 용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해결하여야 할 연구내용을
정리하고 간결하게 진술한다. 연구내용의 진술에 있어서는
특히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이 필요하다. 논문 중에는
연구의 범위와 그 제한점을 명확히 밝히고 있지 않은
것들이 간혹 발견되는데, 연구자의 사고와 주의를
제시된 문제점으로만 집중시키고 제기된 가설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는 연구상 자료수집과 분석의
실제적 범위나 한계를 분명히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연구 내용으로 연구과제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수개의 하위단위로 나누어 체계적으로 분석하여야
하는 것이 보통이다. 논리적 분석체계를 세워
연구내용을 몇 개의 구성요소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내용을 간략하게 언급하는 것이 좋다. 어떠한 자료를
수집할 것이냐 하는 자료의 내용과 분석의 세부적
내용에 대하여 하위문제마다 요점을 서술해야 할 것이다.

   * 방 법
과학적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가설을 입증할
어떠한 자료를 어떠한 자료를 어떤 방법으로
수집할 것이며, 수집된 자료를 어떻게 정리하고
분석하여야 할 것인가 하는 적절한
방법과 절차가 있어야 할 것이다.

연구의 전단계에서 특히 중요한 것은
자료수집을 위한 과학적 관찰과 모집된
자료를 정리하고 처리하는 체계적 분석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관찰을 통한 자료수집과
수집된 자료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분석한
구체적인 방법과 절차를 명시하여야 할 것이다.

여기에서 특히 주의하여야 할 점은
연구수행상 서로 상극되거나 중복되는 방법을
여러 가지 나열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된다.

   * 진행일정
연구진행의 일정표를 마련하여 시간과 노력을
적절하게 분배해야 할 것이다. 문제를 몇 개의
부분으로 나누고 각 부분마다 그 진행완료
예정일자를 기입해둔다. 어떤 문제의 부분의
연구가 끝날 때까지 착수할 수 없는 것도 있을
것이다. 대개의 연구논문은 일정한 기간부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 일정표에 따라서
연구를 진행시킬 것이 필요하다.

  4. 결과 및 의의, 기대 효과
     - 마지막으로 기대하는 연구 결과는 무엇인지 설명하고 
       그것이  분야에 현존하는 지식에 어떤 기여를  것인지 설명
     - 연구결과의 학문적, 사회적 기여도, 인력양성방안, 교육과의 연계활용
        방안 등 기술

  5. 기타
     - 참고문헌, 연구기간 등


<참고자료>
https://www.editage.co.kr/insights/how-do-i-develop-an-outline-for-a-masters-thesis-proposal

http://gsph.yonsei.ac.kr/postgraduate/data/view.asp?con_no=94284&page=1&SearchField=&SearchWord=

http://blog.naver.com/turnitinkorea/220898435483

http://www.inu.ac.kr/user/information/mycodyimages/%EC%97%B0%EA%B5%AC%EA%B3%84%ED%9A%8D%EC%84%9C%20%EC%9E%91%EC%84%B1%EC%9A%94%EB%A0%B9.hwp

키워드 :  연구계획서, 연구방법, 연구기획, 가설, 연구목적, 과학적 연구, 연구의 설계

추신 : 개인적으로 공부하면서 기록으로 남겨놓기에 잘못되거나 문제있는 부분이 있을수
있습니다. 관련의견은 가감없이 댓글 남겨주세요